네이버 지식인 엑스퍼트, 전문가는 존중받아야 마땅하다
사람의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한 마켓플레이스 사례를 찾고 있었다.
아마존 미케니컬 터크, 위시캣, 원티드 긱스, 스팀잇 등 비슷한 서비스를 훑어보던 중 새삼스럽게 떠오르는 서비스가 있었으니,
바로 네이버 지식IN 이다.
나조차도 근래들어 구글링만 할 뿐 네이버지식인에서 검색하는 경우가 많이 줄었다. 가장 최근의 지식인에서의 검색은 오히려 전문분야에 대해 전문가의 상담을 받고싶을 때 찾았던 것 같다. 구글링처럼 광범위한 정보를 유영하려는게 아닌,
콕 찝어 전문가에게 물어보고 싶을때 말이다.
이마저도 이제 챗GPT에게 물어볼법한 상황이 도래했다고는 해도,
지식IN서비스는 국내 인터넷 최대 검색 포털로 네이버를 자리매김하게 해준 일등공신이다.
과연 지식인 활동은 어떤 보상을 통해 동기부여가 되고 그렇게 활발히 이루어진걸까?라는 궁금증이 꼬리를 물었고 지식인 활동만으로는
수입이랄만한 보상이 되지 않는것을 확인했고, 네이버 지식인 엑스퍼트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비스 소개
네이버 지식인 엑스퍼트는 네이버 지식인을 지식 플랫폼화 한 서비스이다.
무엇을 할 수 있나?(핵심 서비스)
1. 전문가와 1:1 비공개 상담
법률이나 소액소송, 세무 같은 전문분야뿐 아니라 피트니스, 번역, 뷰티, 인테리어, 취업, 창업 등 지식IN에서 처럼 광범위한 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한 상담이 가능하다. (카테고리가 약 90개가 된다고..)사주나 타로점 같은 이색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2. 클래스
각 분야 전문가의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VOD 상품형태, 실시간 영상통화 등으로 제공한다.
어떻게 돈을 벌지? (수익공식)
전문가 중심의 비즈니스 구조로 엑스퍼트에게는 플랫폼 이용에 대한 비용이 전혀 없고 결제 대행에 따른 수수료만 부과된다고 한다.
한편 엑스퍼트의 수익을 보면 실제 지식인 엑스퍼트로 활동한지 4개월정도 된 엑스퍼트의 월 매출이 1800만원을 돌파했다고, 월 5000만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전문가(엑스퍼트)가 전년 대비 40% 증가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지식 플랫폼으로의 입지에 가치를 두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네이버 지식인 엑스퍼트 살펴보기
그러면 실제로 엑스퍼트에 찾아가보자.
콘텐츠 광고배너가 상단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카테고리 메뉴가 아이콘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그 바로 하단에는 엑스퍼트 모집 광고배너가 위치해있다. 엑스퍼트 모집이 아직 서비스의 주요 태스크임을 짐작할 수 있다.
메인의 중앙과 하단부에는 콘텐츠 배너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가장 하단에는 엑스퍼트 모집에 대한 홍보콘텐츠가 배치되어있다.
카테고리의 메인은 상품 리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단에는 우선 노출되는 광고구좌가 확인된다.
기본노출은 인기순으로 정렬되는데, 기간 내 상담진행수와 후기평점 등으로 집계될것으로 추측된다.
상세페이지에서는 안내사항과 상세설명, 후기, 해당 엑스퍼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하기 버튼을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실제 구매를 하고 나면 상담페이지에서 채팅 등을 통한 실시간 상담을 진행할 수있다.
과거에 진행한 상담에 대한 내용도 확인이 가능하다.
엑스퍼트의 소개페이지 에서는 상담횟수와 클래스, 후기를 확인할 수 있다.
nodata에 대한 검색결과는 평범하다. 관련없는 이벤트를 추천해준다.
엑스퍼트로 자연스러운 유입
몰랐는데 나역시 과거에 네이버지식인 엑스퍼트를 자연스럽게 이용했던 경험이 있었다.
특정전문분야에 상담질문을 검색 시 답변을 보면 엑스퍼트가 은근히 노출되어 있다.
일정비용을 지급하더라도 해당내용에 대해 상담을 진행하고 싶을경우 자연스럽게 상담으로 이어진다.
🔸엑스퍼트 자격은 어떻게 주어질까?
엑스퍼트 신청자격은 분야별로 다르다고 한다.
변호사와 같이 자격에 대한 기준이 분명한 분야는 해당자격증을 보유하면 되지만
운세/타로 사주와 같이 자격에 대한 기준이 불분명한 분야는 우선 지식IN 고수등급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혹은 해당분야 서비스에 전문가로 소속되어 있다거나 분야 협회의 회원이어야 한다.
네이버지식인이 편리했던 이유에 대해 생각해본다. 단순히 질문을 올리면, 여러명이 다각도로 접근한 답변을 올려주었고 그 중 질문자가 채택하는 형태였다. 그리고 검색을 통해 비슷한 분야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보며 참고하는것도 참 도움이 되었다.
물론 전문분야는 이야기가 다르긴 하다. 전문지식은 그만큼 가치를 매겨줘야 하는게 맞다. 하지만 전문가를 직접 골라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좀 덜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단순히 수익화 모델화 보다는 네이버지식인이 이루었던 가치를 잊지않고 숨고 크몽 클래스101 등과는 구분이 되는 엑스퍼트만의 독보적 색깔을 기대해본다. 그것은 어쩌면 사용자들이 입혀주는 생기로 생겨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한 글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9/02/XG76XUK2TZAINHHTKMHMPMGABY/
https://www.news1.kr/articles/?4224512
네이버 엑스퍼트로 월 5000만원 매출 올리는 전문가…1년새 40% 늘었다
(서울=뉴스1) 송화연 기자 | 네이버 1대1 온라인 상담 플랫폼 '네이버 지식인 엑스퍼트'에서 월 5000만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전문가(엑스퍼트)가 전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 1억원 이
www.news1.kr
'UIUX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랙 구버전 박제하기 (1) | 2023.10.12 |
---|---|
AI 어시스던트 Monica 모니카, 항상 내 옆에 있어줘 (0) | 2023.08.10 |
구글캘린더 VS 네이버캘린더 (1) | 2023.08.10 |